로그인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로그인 없이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습니다
한국 '장시간·저임금·고용불안' 남녀 고용·임금 격차 커노동부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 발간
  
 

우리나라 임금노동자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오래 일하고 적게 받으면서, 고용안정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5일 우리나라 노동시장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을 발간했다.

부록인 'OECD 국제비교 통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임금노동자 연간 노동시간은 2천71시간이다. OECD 28개국 중 멕시코(2천348시간)에 이어 두 번째로 길었다. OECD 평균 노동시간은 1천692시간이다. 노동시간이 가장 짧은 나라인 독일(1천301시간) 노동자보다 무려 770시간을 더 일한 셈이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최장 노동시간 국가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올해 2월 근로기준법을 개정해 주 52시간(연장근로 12시간 포함) 상한제를 도입했다.

2014년 기준 중위임금 3분의 2 미만을 받는 저임금 노동자 비중은 23.7%로, 라트비아·아일랜드·미국 다음으로 높았다. OECD 평균은 16.2%다. 노동소득분배율은 2016년 기준 63.3%로 OECD 28개국 중 21번째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2016년 우리나라 임금노동자들의 근속기간은 5.8년으로, 통계가 발표되는 OECD 국가 중 가장 짧았다. 고용이 가장 불안하거나 유연하다는 뜻이다. OECD 평균 근속기간(9.4년)을 한참 밑돌았다.

남녀 고용격차는 OECD 최고 수준이었다. 2016년 우리나라 15~64세 고용률은 66.1%다. 남성과 여성 고용률 격차는 컸다. 남성고용률은 75.8%로 OECD 평균(74.8%)보다 높은 반면 여성고용률은 56.2%로 OECD 평균(59.4%)보다 낮았다. 성별고용률 차이가 19.6%포인트로, OECD 35개국 중 터키·멕시코·칠레에 이어 4번째로 격차가 컸다.

남녀 임금격차도 눈길을 끈다.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우리나라 노조가입률은 2015년 기준 10.1%로, 25개 OECD 회원국 중 22위에 그쳤다.

배혜정  bhj@labortoday.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4 점심식사 위해 이동 중 사고, 산재 [1] 민주노조 2018.10.18 16956
823 이주노동자 안전·건강과 노동허가제 [1] 민주노조 2018.10.18 9040
822 여성 이주노동자 성폭력 신고 3년7개월 동안 단 19건 [5] 민주노조 2018.10.15 10399
821 한국노총 “주휴수당 폐지하면 노동자 연간 103조원 빼앗겨 [7] 민주노조 2018.10.15 10918
820 가계여유자금 안내 담당자 2018.10.05 6687
819 대법원 "소수노조 사무실·타임오프 미제공, 공정대표의무 위반"사용자에 손해배상 책임 물어 "1천만원 위자료 지급" 판결 [1] 민주노조 2018.09.06 13050
818 근로기준법 연차유급휴가 쓰려거든 대체근로자 구해 와라?강민주 공인노무사(공공운수노조 법률원) 민주노조 2018.09.05 18130
817 감정노동 피해 심각, 10명 중 3명 폭언 경험여성·비정규직·20대 피해 집중 민주노조 2018.09.03 7530
816 [세상읽기]토지 불로소득 막아야 경제 살아난다 민주노조 2018.08.28 7599
815 금융노사 산별중앙교섭 잠정합의] 주 52시간제 올해 시행, 내년 5천명 이상 신규인력 충원임금인상분 일부 반납해 일자리사업 사용 … 9개월 이상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합의 [5] 민주노조 2018.08.28 7931
814 가계빚 1500조원 육박 ‘사상 최대’ 민주노조 2018.08.24 7751
813 이름만 저축은행, [2] 민주노조 2018.08.24 10205
812 문재인 정부 금융정책, 이명박과 다르지 않아"금융경제연구소 '새 정부 금융정책 진단' 보고서 … "신자유주의에 매몰된 정책 이어져" [1] 민주노조 2018.08.21 13127
811 "노동·시민·사회단체, 정부 은산분리 완화 추진에 반발 민주노조 2018.08.21 7156
810 가계여유자금 안내~ [2] 담당자 2018.08.20 78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