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로그인 없이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습니다
한국 '장시간·저임금·고용불안' 남녀 고용·임금 격차 커노동부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 발간
  
 

우리나라 임금노동자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오래 일하고 적게 받으면서, 고용안정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5일 우리나라 노동시장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을 발간했다.

부록인 'OECD 국제비교 통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임금노동자 연간 노동시간은 2천71시간이다. OECD 28개국 중 멕시코(2천348시간)에 이어 두 번째로 길었다. OECD 평균 노동시간은 1천692시간이다. 노동시간이 가장 짧은 나라인 독일(1천301시간) 노동자보다 무려 770시간을 더 일한 셈이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최장 노동시간 국가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올해 2월 근로기준법을 개정해 주 52시간(연장근로 12시간 포함) 상한제를 도입했다.

2014년 기준 중위임금 3분의 2 미만을 받는 저임금 노동자 비중은 23.7%로, 라트비아·아일랜드·미국 다음으로 높았다. OECD 평균은 16.2%다. 노동소득분배율은 2016년 기준 63.3%로 OECD 28개국 중 21번째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2016년 우리나라 임금노동자들의 근속기간은 5.8년으로, 통계가 발표되는 OECD 국가 중 가장 짧았다. 고용이 가장 불안하거나 유연하다는 뜻이다. OECD 평균 근속기간(9.4년)을 한참 밑돌았다.

남녀 고용격차는 OECD 최고 수준이었다. 2016년 우리나라 15~64세 고용률은 66.1%다. 남성과 여성 고용률 격차는 컸다. 남성고용률은 75.8%로 OECD 평균(74.8%)보다 높은 반면 여성고용률은 56.2%로 OECD 평균(59.4%)보다 낮았다. 성별고용률 차이가 19.6%포인트로, OECD 35개국 중 터키·멕시코·칠레에 이어 4번째로 격차가 컸다.

남녀 임금격차도 눈길을 끈다.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우리나라 노조가입률은 2015년 기준 10.1%로, 25개 OECD 회원국 중 22위에 그쳤다.

배혜정  bhj@labortoday.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4 쪼개기 계약...무기계약직 민주노조 2019.06.14 22777
1303 한국 대학등록금 ‘세계 2위’,(한겨레펌) [1] 광농민노 2011.01.25 22771
1302 조합원 초청 강연회 [2] file 광농민노 2012.06.26 22613
1301 한국 부도위험 급등..CDS 1년래 최고치(경제신문펌)) [1] 광농민노 2011.08.09 22597
1300 청소년 인문학 교실(아시아투데이 펌) [2] 광농민노 2012.07.11 22460
1299 영농계획서 제출 예외 규정 악용..조합 따라 무자격자가 절반 육박도 [2] 민주노조 2018.10.18 22458
1298 가계여유자금안내 [1] 부산지점 2019.06.03 22401
1297 이랜드 자본 규탄 중앙선봉대 모집 [1] 광전본부 2007.08.17 22371
» 한국 '장시간·저임금·고용불안' 남녀 고용·임금 격차 커노동부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 발간 [2] 민주노조 2018.07.07 22327
1295 멈추지 않는 ‘위험의 외주화’…산재사망 90%가 ‘하청노동자’ [5] 민주노조 2018.12.12 22326
1294 함성지 48호 [22] file 민주노조 2019.03.05 22267
1293 농협 개혁 없인 농업 개혁 없어” [25] 민주노조 2019.03.07 22239
1292 유성기업 용역 깡패 만행(한겨레펌) [2] 광농민노 2011.06.24 22150
1291 카셰어링 쏘카, 포괄임금제 악용해 시간외근무 수당 과소 지급 [1] 민주노조 2017.12.01 22039
1290 [세상 읽기] 계약직 월급이 더 높아야 공평사회 / 정재승 (한겨레펌) [2] 광농민노 2012.02.01 22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