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로그인 없이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습니다

韓 노동시간 OECD 2위..日보다 두달여 더 일하고 임금은 4분의3

OECD 평균보다 2달, 美보다 1.8달, 獨보다 4.2달 더 일하는 셈연합뉴스 | 입력 2016.08.15. 05:52

OECD 평균보다 2달, 美보다 1.8달, 獨보다 4.2달 더 일하는 셈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우리나라 취업자 1인당 연간 평균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2번째에 이를 정도로 긴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에 연간 평균 구매력평가기준 임금은 OECD 중하위권 수준에 불과했다.

15일 OECD의 '2016 고용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2015년 기준 국내 취업자 1인당 평균 노동시간은 2천113시간으로 OECD 회원국 34개국 평균(1천766시간)보다 347시간 많았다.

이를 하루 법정 노동시간 8시간으로 나누면 한국 취업자는 OECD 평균보다 43일 더 일한 셈이 된다. 한 달 평균 22일 일한다고 가정했을 때 OECD 평균보다 두 달 더 일한 꼴이다.

한국 취업자의 작년 평균 연간 실질임금은 구매력평가(PPP) 기준 3만3천110달러로, OECD평균(4만1천253달러)의 80% 수준이었다.

연간 실질임금을 노동시간으로 나눈 한국 취업자의 작년 시간당 실질임금은 15.67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 23.36달러의 3분의 2수준이었다.

국가별로 보면 동아시아권에서 한국처럼 장시간 근로로 악명 높은 일본의 취업자 1인당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천719시간으로 한국보다 394시간 적었지만 연간 실질임금은 3만5천780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20.81달러로 각각 한국보다 2천670달러, 5.14달러 더 많았다.

한국 취업자는 일본보다 49일, 2.2달 더 일하는 셈이지만 연간 실질임금은 일본의 92.5%, 시간당 실질임금은 4분의 3 수준으로 받았다.

OECD 국가 중 가장 연간 평균 노동시간이 적은 독일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독일 취업자의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천371시간,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4만4천925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32.77달러였다.

한국 취업자는 독일 취업자보다 4.2달 더 일하고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독일의 73%, 시간당 실질임금은 절반 수준이었다.

미국 취업자의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천790시간,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5만8천714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32.80달러였다.

한국 취업자는 미국에 비해서는 1.8달 더 일하고,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56.4%, 시간 실질임금은 47.7% 수준으로 받은 셈이다.

OECD 회원국 중 연간 실질임금이 가장 높은 국가는 룩셈부르크(6만389달러), 미국(5만8천714달러), 스위스(5만8천389달러), 노르웨이(5만908달러), 네덜란드(5만670달러), 호주(5만167달러), 덴마크(5만24달러) 순이었다.

반면에, OECD 회원국 중 노동시간이 2천246시간으로 가장 긴 멕시코는 연간 실질임금이 1만4천867달러로 가장 낮은 불명예를 안았다.

이어 헝가리(1만9천999달러), 에스토니아(2만1천564달러), 체코(2만1천689달러), 슬로바키아(2만2천31달러) 순으로 연간 실질임금이 낮았다.

노동시간은 멕시코와 한국에 이어 그리스(2천42시간), 칠레(1천988시간), 폴란드(1천963시간) 순으로 많았고, 독일에 이어 네덜란드(1천419시간), 노르웨이(1천424시간), 덴마크(1천457시간), 프랑스(1천482시간), 룩셈부르크(1천507시간) 순으로 적었다.

시간당 실질임금이 가장 높은 국가는 룩셈부르크(40.06달러), 스위스(36.73달러), 노르웨이(35.75달러), 네덜란드(35.71달러), 덴마크(34.33달러), 미국(32.80달러), 독일(32.77달러) 순이었고, 낮은 국가는 멕시코(6.62달러), 헝가리(11.44달러), 에스토니아(11.64달러), 칠레(11.70달러) 순이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3 한국이 입장 바꿔 FTA 타결 광농민노 2010.12.09 11248
772 내년 30인 미만 사업장에 최저임금 보조..1인당 월 13만원까지 민주노조 2017.11.09 11243
771 금융노조 4차 산업혁명 대응 본격화대책위원회 3일 발족, 노사 공동기구 설립 추진 민주노조 2017.08.04 11240
770 노조 인정해달라” 전세버스 지부장 분신 사무국 2016.01.20 11227
769 경찰, 현대차 10명 체포영장 추가 신청 광농민노 2010.12.09 11227
768 nh투자증권 저성과자 징계 사무국 2016.05.02 11226
767 조합원 아니라고 '확인서' 써야 임금인상분 주겠다?] 충남지노위 "을지대병원 부당노동행위" 인정노조활동 실태조사도 부당 … 병원, 중앙노동위에 재심 신청 민주노조 2016.07.19 11224
766 전력노조 57% 찬성으로 성과연봉제 확대시행 가결정부 전방위 압박에 선도기관 '균열' … 공공부문 노동계 농성·헌법소원으로 대응 사무국 2016.04.25 11224
765 매달 지급 임금만 통상임금으로 하고 法에 명문화해야 민주노조 2017.08.21 11218
764 술취한 남성 방뇨에..... 광농민노 2011.06.24 11218
763 함성지 22호 file 난누구인가 2015.10.27 11204
762 상여금에 숨어 있는 악마의 디테일 민주노조 2017.09.01 11200
761 희망전진대회 약도 file 광농민노 2011.04.27 11195
760 전국 협동조합 노동자들 "관치농협 야욕, 농협법 개악 중단하라 민주노조 2016.09.05 11186
» 韓 노동시간 OECD 2위..日보다 두달여 더 일하고 임금은 4분의3 민주노조 2016.08.15 1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