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로그인 없이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습니다

韓 노동시간 OECD 2위..日보다 두달여 더 일하고 임금은 4분의3

OECD 평균보다 2달, 美보다 1.8달, 獨보다 4.2달 더 일하는 셈연합뉴스 | 입력 2016.08.15. 05:52

OECD 평균보다 2달, 美보다 1.8달, 獨보다 4.2달 더 일하는 셈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우리나라 취업자 1인당 연간 평균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2번째에 이를 정도로 긴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에 연간 평균 구매력평가기준 임금은 OECD 중하위권 수준에 불과했다.

15일 OECD의 '2016 고용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2015년 기준 국내 취업자 1인당 평균 노동시간은 2천113시간으로 OECD 회원국 34개국 평균(1천766시간)보다 347시간 많았다.

이를 하루 법정 노동시간 8시간으로 나누면 한국 취업자는 OECD 평균보다 43일 더 일한 셈이 된다. 한 달 평균 22일 일한다고 가정했을 때 OECD 평균보다 두 달 더 일한 꼴이다.

한국 취업자의 작년 평균 연간 실질임금은 구매력평가(PPP) 기준 3만3천110달러로, OECD평균(4만1천253달러)의 80% 수준이었다.

연간 실질임금을 노동시간으로 나눈 한국 취업자의 작년 시간당 실질임금은 15.67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 23.36달러의 3분의 2수준이었다.

국가별로 보면 동아시아권에서 한국처럼 장시간 근로로 악명 높은 일본의 취업자 1인당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천719시간으로 한국보다 394시간 적었지만 연간 실질임금은 3만5천780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20.81달러로 각각 한국보다 2천670달러, 5.14달러 더 많았다.

한국 취업자는 일본보다 49일, 2.2달 더 일하는 셈이지만 연간 실질임금은 일본의 92.5%, 시간당 실질임금은 4분의 3 수준으로 받았다.

OECD 국가 중 가장 연간 평균 노동시간이 적은 독일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독일 취업자의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천371시간,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4만4천925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32.77달러였다.

한국 취업자는 독일 취업자보다 4.2달 더 일하고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독일의 73%, 시간당 실질임금은 절반 수준이었다.

미국 취업자의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천790시간,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5만8천714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32.80달러였다.

한국 취업자는 미국에 비해서는 1.8달 더 일하고,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56.4%, 시간 실질임금은 47.7% 수준으로 받은 셈이다.

OECD 회원국 중 연간 실질임금이 가장 높은 국가는 룩셈부르크(6만389달러), 미국(5만8천714달러), 스위스(5만8천389달러), 노르웨이(5만908달러), 네덜란드(5만670달러), 호주(5만167달러), 덴마크(5만24달러) 순이었다.

반면에, OECD 회원국 중 노동시간이 2천246시간으로 가장 긴 멕시코는 연간 실질임금이 1만4천867달러로 가장 낮은 불명예를 안았다.

이어 헝가리(1만9천999달러), 에스토니아(2만1천564달러), 체코(2만1천689달러), 슬로바키아(2만2천31달러) 순으로 연간 실질임금이 낮았다.

노동시간은 멕시코와 한국에 이어 그리스(2천42시간), 칠레(1천988시간), 폴란드(1천963시간) 순으로 많았고, 독일에 이어 네덜란드(1천419시간), 노르웨이(1천424시간), 덴마크(1천457시간), 프랑스(1천482시간), 룩셈부르크(1천507시간) 순으로 적었다.

시간당 실질임금이 가장 높은 국가는 룩셈부르크(40.06달러), 스위스(36.73달러), 노르웨이(35.75달러), 네덜란드(35.71달러), 덴마크(34.33달러), 미국(32.80달러), 독일(32.77달러) 순이었고, 낮은 국가는 멕시코(6.62달러), 헝가리(11.44달러), 에스토니아(11.64달러), 칠레(11.70달러) 순이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8 안녕하세요 [맛있는 통돼지바베큐] 각종모임에 좋은 출장뷔페가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 file 김나 2017.04.13 11428
687 아동수당 도입· 정년 연장 및 폐지.. 현실화될까 [2] 민주노조 2017.03.31 21373
686 임시·일용직 임금 1년간 7만원 인상, 상용직은 8배 넘는 59만원 민주노조 2017.03.31 15590
685 [상여금 분할지급으로 최저임금법 회피 꼼수까지 민주노조 2017.03.29 12633
684 한국, 권력 엘리트 청산 못하면 탄핵 전과 다를 것 없어” [2] 민주노조 2017.03.23 25504
683 [무기계약직 반격 시작됐나] 마사회 무기계약직, 차별 수당 50억원 지급 집단소송 [2] 민주노조 2017.03.21 36189
682 정년 60세 법제화 뒤 기업 70% 임금체계 변경 민주노조 2017.03.20 15152
681 퇴직거부자 저성과자 만들어 자른 SK플래닛, 경기지노위 "부당해고"PIP 민주노조 2017.03.20 13213
680 노동계 '최저임금 1만원 대선' 만든다 민주노조 2017.03.17 10890
679 금왕농협 노사, 파업 5개월 만에 교섭 타결인센티브상여금 민주노조 2017.03.17 12042
678 추가자금 안내문 [4] 한원 2017.03.17 19288
677 원주원예농협, 노조 설립 후 '성과급 지연 지급·위원장 해고' 민주노조 2017.03.15 11994
676 노동시간·임금 줄여 청년고용 늘리자” 공공운수노조 첫 제안 민주노조 2017.03.15 14233
675 소식지 36호 file 민주노조 2017.03.14 12242
674 노조 비판한 조합원, 회사가 중징계 민주노조 2017.03.08 10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