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로그인 없이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정치가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다섯가지 이유 (언제나 그렇듯 대충 요약^^)

매우 훌륭한 글 (이 글을 포스팅해 준 신현호님 Hyunho Shin께 감사!!!), 뿐만 아니라 이 짧은 글 안에 기라성 같은 불평등 전공 학자들의 논문이 첨부되어 있다. 대부분 실증 논문이다.

1. 문제의식

1) 시장경제에서 중위투표자의 소득은 평균소득보다 낮은 것이 분명

- 한국인 5천만명을 소득을 순서대로 쭉 배열했을 때 2500만명 부근의 소득은 평균소득보다 왼쪽에 있을 거라는 얘기. 불평등이 심할 수록 평균은 오른 쪽(부자 쪽)으로 치우칠 것이기에 이 격차는 더 커질 것.

ex) 세 사람의 소득이 각각 3, 3, 3 인 사회(평등)의 중위소득 3, 평균소득 3. 한편 소득이 1. 1, 7 인 불평등 사회의 중위소득 1, 평균소득 4.5

2) 그렇다면 불평등이 커질 수록 재분배 정책에 찬성하는 사람이 늘어나서 평등 지향의 정당이 집권할 것. 그런데 왜 현실은 그렇지 않을까?

- (한국) 이 이유를 정확히 모르면 재분배정책을 제시하면 낙선한다(이른바 '중산층-서민"도 반대하므로) 는 논리가 나온다. 사실상 재분배에 반대하면서 적극적 성장론을 제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것. 지난 대선 때도 문재인선본은 증세라는 말을 피했는데 지금 지도부는?

2. 이유 (미국의 사례와 한국은?)

1) 상향 이동성

- 사람들은 상향 이동성(사회적 신분 상승 가능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생각("이동성 인식")은 재분배에 대한 지지를 갉아 먹는다. 현실의 불평등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더라도 나는 상층으로 올라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당연히....

- (한국)p2의 표를 보면, 한국 사람들의 이동성 인식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 즉 누구나 자긴 상류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실 이동성과의 격차가 가장 큰 나라에 속한다(일본과 막상막하). 즉 실제론 그 자리에 있거나 하향할텐데도 자기는 언제든 치고 올라갈 수 있다고 믿는다. 현실이 그렇지 않은가? 아이들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거의 100%의 믿음. 그래서 애들을 괴롭히는 거 같다.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지지하는 데도 이런 과대평가가 작용하는 듯...

2) 불평등은 연대의식을 잠식한다

- "미국의 불평등이 증가하면 대중은 더 보수적인 감성으로 반응한다"(엔스와 켈리). "불평등 심화에 대한 최선의 정책은 보편적 사회복지프로그램을 펼치는 것이다. 하지만 불평등 심화에서 비롯된 사회적 긴장은 그런 정책의 실행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 불평등이 심화돼서 승자독식 경제가 되면 유권자들은 자기 아이들에 대한 투자를 늘린다.

- 불평등이 심화되면 공정한 소득분배에 대한 생각 자체가 바뀐다(크리스-스텔라 트럼프). 어느 덧 현실을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인식하게 된다.

- (한국) 즉 연대해서 사회제도 자체를 바꾸려기 보다 "그래? 그럼 우리 아이들만은 상위 10%에 들어가게 해야겠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이들에 대한 투자가 늘어난다. 물론 이 싸움에선 부자가 이긴다. 사교육 경쟁이 대표적이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전반적 분위기, 사회규범이 이렇게 변했다. 당연히 불평등은 더욱 심화..

3) 정치적 오대표(misrepresentation)

- 일반적으로 미국 국민은 재분배 정책에 찬성한다. 불평등에 대한 정치적 반응의 결핍은 미국 정치제도의 구조와 연관되어 있다. 자주 교착상태에 빠지는 미국 의회의 현상유지 편향은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제목으로 보면 특히 승자독식 선거제도, 즉 단순다수대표제를 의미하는 듯)

- 가난한 사람들의 투표율이 낮다. 투표율의 불평등이 소득의 불평등으로 이어진다.
최저임금 인상, 약탈적 대출관행 금지, 관대한 의료보험 찬성율이 낮아진다.

- (한국) 똑같다. 나아가서 미국의 민주당과 한국의 새정치연합을 비교하면 절망스럽다.

4) 이해집단 정치

- 투표기계인 노조의 약화는 중저 소득층의 투표율을 낮춘다.

- 미국의 정책 결정은 주로 이해집단들의 로비에 의해 이뤄진다. 조직이 문제다. 노조는 시민 전반이 찬성하는 정책을 지지하지만 기업집단은 부자들만 옹호하는 정책을 로비한다. 수많은 연구가 노조의 쇠퇴를 불평등 심화와 연관시키고 있다.

- (한국) 노조의 약화는 미국보다 더 심한 거 같다.

5) 인종 갈등

- 흑인은 상층도 재분배정책을 지지하지만 가난한 백인은 재분배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다. 백인들의 인종적 편견이 재분배 정책을 방해한다.

- (한국) 인종차별은 없지만(앞으론 생길지도..) 대신에 지역갈등이 있다. 영남의 가난한 사람은 분명히 호남보다 재분배정책에 반대할 거 같다.

3. 결론

- 소득불평등에 대한 대대적인 대중교육은 재분배정책 실행의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다. 평등 정책에 대한 진정한 장애물은 미국의 정치, 인구구성, 이해집단 연합에 깊이 뿌리박고 있다.

- 정보의 역할은 불평등이 아니라 사회적 이동성에 대해서 더 중요하다. 즉 자신과 아이의 사회적 이동성에 대해서 사람들이 과대평가하는 게 더 문제다. "사회주의는 미국에서 결코 뿌리내지 못한다. 가난한 사람들이 자신을 착취당하는 프롤레타리아트로 보는 게 아니라 일시적으로 곤란을 겪는 백만장자로 보기 때문이다"(존 스타인 벡)

- 노조의 강화, 가난한 사람들의 투표율 제고, 정치과정의 매수를 바로잡는 정책 모두가 불평등의 교정을 위해 필요하다. 즉 정치적 동원이 필요하다. "생각쟁이(wonk)들은 세상을 해석한다. 하지만 핵심은 세상을 바꾸는 것이다"(흐흐 맑스의 원용이 마지막 문장!)

- (한국) 불평등 실태를 밝히는 것도 중요하다. 현실의 사회이동성이 터무니 없이 낮다는 것도 밝혀야 한다(표2). 다수대표제도 문제다. 지역갈등이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우리 모두가 아니라, 내 아이만은 상류층에 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큰 문제다. 새정치민주연합의 한심한 "중도"론은ㅠㅠ

* 글을 쓰다가 든 생각. 왜 새정치연합은 보수적일까? 순전히 토막 사곤데... 이 당은 호남과 수도권 연합당인데 국회의원을 보면 호남 쪽은 보수적인 사람들이 ( 주로 관료 출신이나 지방 호족들이) 당선되고, 수도권 쪽은 뭔가 합리적으로 보여야(중도!, 실은 새누리당과 별 다를 바 없이 수도권 중상층의 사고에 맞춰야) 당선된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주류가 다 재분배 문제를 꺼린다. 사회문제에는 진보적이고 경제와 안보는 보수적이어야 한다는 망발이 그래서(경제의 실상은 전혀 모르면서, 뭔가 합리적인 것처럼 보이고 싶은 욕구) 나온 것 아닐까?

어쨌든 새정치건 진보정당이건 의원들의 당선 가능성이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건 현재 정당정치의 심각한 문제다. 이런 상황에서 장기적인 방향에서 꾸준한 지역 사업을 펼치는 건 불가능할 것이다. 정당 문제에 관해선 좀 더 공부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5 임금피크제 토론 file 사무국 2016.02.26 10217
494 사무금융연맹, 사무금융노조 제명 확정정기대의원대회에서 노조 징계 사무국 2016.02.25 13037
493 출범 3년 맞은 박근혜 정부] 일자리 늘리고·지키고·올리고? 쉬운 해고·나쁜 일자리로 '유턴'청년실업·고용불안 아우성에도 "고용사정 호전" 엉뚱한 평가 [1] 사무국 2016.02.25 42946
492 2016년 6년차 정기대대 안건공지 file 사무국 2016.02.18 11909
491 취업규칙 멋대로 바꾼 경북대병원, 근로기준법 위반 논란 사무국 2016.02.12 11687
490 공공기관 노사 합의한 임금피크제, 이사회 의결 없다면 무효”대법원 임금피크제 효력 인정한 원심 파기 환송 … "성과상여금도 통상임금 해당" [11] 사무국 2016.02.11 14528
489 정부 '양대지침' 헌법·노동법 훼손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 비판 일어 사무국 2016.02.05 12264
488 사무금융연맹, 사무금융노조 제명 결정 사무국 2016.02.05 10569
487 노동자 죽이는 구조조정 '원샷법' 사무국 2016.02.05 13204
486 2016년 달라지는 노동법 [2] 사무국 2016.02.03 13757
485 함성지 24호 file 사무국 2016.02.02 10417
484 금융노조 "성과주의 임금체계 개편? 초법적 노사관계 개입 선언 사무국 2016.02.02 11240
483 '구조조정 한파' 지난해 금융종사자 1천189명 구조조정 사무국 2016.02.01 10494
482 통상임금 ‘마의 절벽’ 신의칙 뛰어넘은 판결 나왔다대전고법 사무국 2016.02.01 11246
481 정부 "성과연봉제 확산" 선언에 들끓는 공공·금융·공무원 노동계 사무국 2016.01.29 10625